현재 위치
  1. 게시판
  2. 공지사항

공지사항

공지사항입니다.

게시판 상세
[언론]'중앙일보 소년중앙’ 어라연 전각체험관 보도
대표 관리자 (ip:) 평점 0점   작성일 2022-06-23 추천 추천하기 조회수 455


'중앙일보 소년중앙’에 어라연 전각체험관이 보도되었습니다!


지난번 중앙일보 소년중앙에서 온 학생기자 분들이,

전각에 대한 기사 작성을 위해 취재 차 어라연전각체험관에 방문해주셨습니다!




[소년중앙] 옛 문인처럼 전각 새겼죠, 사인 대신 폼 나게 이름 찍어요

서예나 동양화 같은 예술 작품부터 통장·서류 등에는 흔히 도장이 찍혀있습니다.

사인(Signature)과 함께 자신을 나타내는 도장은 인장이라고도 하는데, 과거에도 현재에도 많이 쓰이고 있죠.

도장 중에서도 특히 예술로 나아간 분야를 전각(篆刻)이라고 해요. 나무·돌·금·옥·뼈·수정 등에 인장을 새기는 일,

또는 그런 글자를 말하죠. 예로부터 한자 서체 중 전서(篆書)를 주로 사용한 것에서 유래합니다.



전각은 과거 어떻게 쓰였을까

“전각의 종류는 어떻게 나눌 수 있나요?” 가은 학생모델이 먼저 질문했죠.

전각은 사용자·형태·내용·쓰임에 따라 새(璽)·보(寶)·인장(印章)·인신(印信)·인감(印鑑)·도장(圖章)·도서(圖書)·낙관(落款) 등 여러 가지로 나뉩니다.

특히 일반·관청에서 사용하는 것을 인장이라고 했는데, 인장은 보통 가지고 있는 사람이나 기관의 신분을 증명하는 용도죠.

전각의 역사는 고대 유물을 통해 알 수 있어요. 초기 전각은 전 세계 여러 지역에서 인장 형태의 유물로 발견됐죠.

서양은 대표적으로 BC 5000년경 고대 메소포타미아 수메르인들의 원통형 인장, BC 2000년경 고대 이집트에서 사용된 황금충(黃金蟲·황금풍뎅이)

모양의 스카라브 인장이 있는데, 주로 그림 형태의 문양이 새겨졌어요. 동양으로 오면 BC 1600년경 중국 상(은)나라 수도 은허에서 출토된 인장이 있습니다.”

서양과 동양 전각의 공통된 특징은 권력이나 재물을 증명하는 도구로 자신의 신분을 표시하는 용도로 사용됐다는 것,

사실을 증명하기 위한 믿음의 증표로 쓰였다는 것입니다.

우리나라 전각의 기원은 단군 신화에 나와요. 고려 인종 23년(1145년)에 김부식이 편찬한 『삼국사기(三國史記)』에는 여러 사료가 기록돼 있는데요.

그중 현재 전해지지 않는 한국의 고대 역사서인 『고기(古記)』에 ‘환국의 아들 환웅에게 천부인(天符印) 세 개를 주었다’는 내용이 있죠.

천부인은 풍백(風伯)·우사(雨師)·운사(雲師)의 삼신(三神)을 거느릴 수 있는 신령스러운 인장입니다. 또 삼국 시대 이전 낙랑(BC 108~AD 313)의

고분에서 출토된 인장 유물도 있어요. 백제·신라를 거치며 인장 형태가 다양해졌고, 고려 시대에는 왕이 사용하는 국새, 관직에 사용하는 관인,

개인이 사용하는 사인 등으로 구분됩니다. 조선 시대에는 문인사대부들이 직접 전각을 새기면서 문인 전각이 형성됐죠.

그러면서 서예·회화 작품에 어울리는 예술이자 독특한 작품으로 나타나게 됐어요.

“현대로 넘어오면 전각은 예술 작품뿐 아니라 수제도장 등 문화 상품으로 개발한다는 점에서 범위가 더 확대됐죠.”



음각·양각 각법의 차이는

인장을 새기는 각법에는 음각과 양각이 있어요. 글자를 파낸 것을 음각인이라고 하며,

인주를 묻혀 찍을 때 글씨가 하얗게 나와 백문인(白文印)이라고도 합니다. 반대로 바탕을 파내 글자가 튀어나와 있으면

양각인이며, 이 경우 글자가 붉게 찍혀 주문인(朱文印)이라고 하죠. 흔히 우리의 이름을 새긴 것을 도장이라고 말하지만,

정확하게 하면 성과 이름을 다 새긴 성명인이에요. 옛사람들은 본명 대신 허물없이 부르기 위해 호를 지었는데,

호를 새긴 것은 아호인이죠. 성명인에는 백문인이, 아호인에는 주문인이 주로 쓰였습니다.



나만의 수제 전각도장 만들기

우리나라에서 개발한 수제도장은 도장 옆면에 문자나 그림을 새기고 채색해 아름답게 꾸민 것을 말합니다.

나만의 방식으로 자유롭게 만들 수 있어 자신의 개성을 나타낼 수도 있죠. 도장, 즉 인장은 꼭대기에 조각된 부분인 인뉴(印鈕),

몸체 부분인 인신(印身), 아랫부분으로 문자나 그림을 새겨 찍게 만든 인면(印面)으로 구성됩니다.

소중 학생기자단은 인면에 자신의 이름을 새겨 음각도장을 만들어보기로 했어요.

완성된 수제도장을 빈 종이에 찍어보기로 했어요. 가은 학생모델은 인주를 인면에 톡톡 묻힌 다음, 종이에 꾹 눌러 찍더니

“제 이름하고 하트 모양 그림이 정말 예쁘게 찍혔어요”라며 놀라워했죠. 시윤 학생모델도 만족했는지 도장을 여러 번 찍어봤어요.

김 원장은 “도장은 일상생활에서 사용할 수 있고, 다른 사람에게 의미 있는 선물로 줄 수 있어요”라며

여러 색 도장 케이스를 내밀었죠. 보라색을 선택한 두 학생모델은 “전각이라고 해서 어렵다고 느꼈는데,

이제 저만의 도장이 생겨 기뻐요. 앞으로 사인 대신 도장을 사용해 볼 거예요”라고 입을 모았습니다.





학생기자단 취재 후기

취재 전까지 전각은 제게 낯선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직접 해보니 정말 흥미롭고 멋진 체험이었죠.

전각의 역사와 예술성을 알 기회가 됐고, 여러 가지 궁금한 점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처음에는 도장에 이름을 쓰는 것도 어려웠지만,

완성된 것을 보니 꽤 멋진 나만의 도장이 만들어져 신기하고 뿌듯했어요. 이번 취재도 정말 소중하고 잊지 못할 경험이 됐습니다.

소년중앙 독자 여러분도 자신의 이름을 직접 디자인하고 새겨서 개성 있는 도장을 만들어 보세요. 참 멋진 체험이 될 것입니다.

-문시윤(서울 상명초 5) 학생모델-


이번 취재를 통해 전각에 대해서 처음 알게 됐고, 저만의 도장도 처음 가져봤어요.

전각도장 만들기는 복잡하고 어려울 줄 알았지만, 생각보다 간단하고 쉬웠습니다. 도장 글씨를 뒤집어서 인면에 써야 한다는 점은 좀 헷갈렸어요.

김현숙 선생님께서 몸소 시범도 보여주시고, 설명도 잘해주셔서 더 재밌게 할 수 있었어요.

만약 다음에 또 전각도장을 만들게 된다면, 어려운 모양으로 도장을 만들 거예요!

-배가은(서울 중대초 4) 학생모델-


출처 : https://n.news.naver.com/article/025/0003200263



보여드린 내용은 기사의 일부를 발췌한 것이니

더 많은 정보를 얻고싶다면 위의 링크에서 기사 전문을 확인해주세요 !




첨부파일
비밀번호 수정 및 삭제하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댓글 수정

비밀번호 :

/ byte

비밀번호 : 확인 취소